에어버스가 지난해 연결 기준 이자·세금 차감 전 영업이익(EBIT)이 전년 대비 8% 감소한 53억5천400만 유로(약 8조519억원)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692억 유로(약 104조761억원)에 달했다. 작년 상용 항공기 총 766대를 인도했다.
상용 항공기 부문에서 발생한 매출액은 전년 대비 6% 증가한 506억 유로(약 76조548억원)에 달했다. 에어버스 헬리콥터의 경우 361대를 인도했고, 매출액은 8% 증가한 79억 유로(약 11조8천452억원)를 기록했다.
(사진=에어버스)
에어버스 항공방산·우주(DS) 매출액은 전년 대비 5% 증가한 121억 유로(약 18조1천427억원)로, 주로 에어 파워 사업이 이를 견인했다. A400M 군용수송기는 총 7대를 인도했으며, 여기에는 카자흐스탄으로의 첫 인도분도 포함된다.
지난해 수주는 가치 기준 1천35억 유로(약 155조1879억원)로 전년 대비 약 44% 감소했다. 작년 상용 항공기 878대를 수주했다. 취소 후 순수주는 826대다.
에어버스 헬리콥터는 순수주 450대를 기록했다. 에어버스 DS의 수주액은 167억 유로(약 25조399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주잔고는 작년 말 연결 기준 6천290억 유로(약 943조1천226억원)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상용 항공기 수주잔고는 총 8천658대다.
작년 자체자금 조달 연구개발(R&D) 비용은 32억5천만 유로(약 4조8천730억원)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에어버스는 올해 주요 목표로 상용 항공기 약 820대를 인도와 EBIT 약 70억 유로(약 10조4천927억원)를 제시했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