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나 태블릿·컴퓨터·TV와 같은 디지털 화면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하루 1시간 늘어날 때마다 근시 발병 위험이 21%씩 치솟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3일 서울대 의대 안과학교실 김영국 교수팀은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밝혔다.
연구는 33만여명이 참여한 45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을 통해 디지털 스크린 사용 시간과 근시 발병률 증가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연구팀은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2050년엔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이 근시를 앓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게임 콘솔, 컴퓨터, TV 등 디지털 화면 기기 사용 시간이 하루 1시간에서 4시간 사이일 때 근시 위험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시 발병 확률은 스크린 타임이 1시간 증가할 때마다 21% 높아졌다.
스크린 타임이 1시간 미만일 때는 완만하게 증가했으나, 1~4시간 구간에서 급격히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4시간 이상에서는 증가율이 다시 낮아졌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