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건강] 치매환자 100만명 시대를 맞는 우리의 자세

헬스케어입력 :2025-02-24 10:41:44    수정: 2025-02-24 13:57:05

치매환자 100만 명 시대,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 참여, 예방 활동 등이 요구된다.

지난 2015년 63만 명이었던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작년 105만 명으로 늘어났다. 치매는 뚜렷한 원인 없이 일차적으로 발생하는 퇴행성 치매와 선행 질환이 원인이 돼 치매가 발생하는 비퇴행성 치매로 나뉜다.

퇴행성 치매 중에서는 알츠하이머 치매가 70%를 차지한다. 이어 혈관성 치매가 약 20%다. 알츠하이머 및 혈관성 치매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15%가량이다. 특히 환자 수가 가장 많은 알츠하이머 치매는 아밀로이드와 타우라는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뇌에 축적돼 체외로 배출하지 못해 발생한다. 뇌가 위축되고, 병변이 진행됨에 따라 뇌 전체로 뇌세포 손상이 진행돼 이해와 언어 판단력이 저하된다.

사진=픽사베이

치매 자체로 인한 사망보다는 거동 및 보행 등 운동기능 장애로 와상 상태로 진행될 시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 또 삼킴 장애로 인한 폐렴과, 위생 관리 부족으로 인한 요로 감염증, 와상에 의한 욕창성 궤양에 의한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치매를 예방하려면 음주와 흡연을 삼가고, 고혈압과 당뇨 등 혈관 위험인자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규칙적인 운동으로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두뇌 회전을 많이 할 수 있는 놀이나 독서, 충분한 수면과 건강한 식습관을 길러야 한다.

김홍일 방통위원장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