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가 이달 26일부터 58일 간의 조업정지에 돌입함에 따라 올해 실적 부담이 가중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지난해 12월 환경부와 경상북도는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해 이같은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내렸다. 조업 정지기간 중 석포제련소는 아연정광을 공정에 투입해 아연괴를 생산하는 등의 조업활동을 일체 할 수 없다. 이는 2019년 폐수를 무단으로 배출하고 무허가 배관을 설치하는 등 물환경보전법을 위반한 것에 따른 제재다.
영풍 석포제련소 (사진=뉴시스)
업계에선 영풍 석포제련소가 조업정지 이후 재가동 준비까지 고려하면 4개월 가량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거라는 관측이 나왔다. 이에 따라 영풍의 제련 부문 매출 저하 우려가 나온 것이다. 지난해 1~9월 영풍의 제련 부문 매출은 8천187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 1천949억원 대비 31.5% 줄었다. 올해 매출은 작년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석포제련소 조업 활동의 핵심인 아연괴 생산인 점을 고려하면 아연괴 매출 감소세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3분기 누적 기준 2022년 1조 1천419억원이던 아연괴 매출은 2023년 9천660억원, 지난해 6천392억원까지 위축됐다.
영풍의 경영 실적 악화 등을 고려해 최근 영풍이 MBK파트너스와 손잡고 고려아연 경영권 인수를 시도하는 것에 대해 회사 경쟁력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앞서 지난달 고려아연 임시주총을 앞두고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은 연이은 우려를 전달했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