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석 대통령실 사이버안보 비서관은 25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제 29차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정기총회'에 참석해 "정보보호 산업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사이버 주권이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신 비서관은 핀테크 기업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의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 출신이다.
이날 신 비서관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회장 조영철 파이오링크 대표)와 한국정보보호학회(회장 박영호 세종사이버대 교수)가 공동으로 제정한 ‘2025년 사이버주권 수호상’ 수상자로 선정,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신 비서관 외에 박춘식 아주대 사이버보안학과 교수(전 국가보안기술연구소장)와 홍진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원장이 상을 함께 수상했다. 2019년 제정한 이 상은 올해가 7회째 시상으로, 국가 정보보호와 산업발전에 공로가 있는 인물을 선정해 시상한다.
신 비서관은 "지금도 선진국 중 정보보호 소프트웨어를 만들지 못하는 나라가 여럿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면서 "우리가 정보보호 제품을, 우리 국산 제품을 만들고 지켜 나가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사이버 스폰의 굉장히 중요한 일"이라고 짚었다. 작년 11월 일어난 잘 안 알려진 일화도 소개했다. 당시 해커들이 우리나라를 디도스 공격해 마비시키겠다고 공언했고, 일주일 정도 시도했지만 우리가 성공적으로 이를 막아, 해커들이 물러갔다는 것이다. 신 비서관은 "(해커들이) 다른 나라로 공격 방향을 돌렸고, 이 과정에서 여러 정보보호 산업인들의 도움이 컸고, 우리 국가기관이 안전하게 디도스 공격을 방어할 수 있었다"고 들려줬다.
신용석 대통령실 사이버안보 비서관이 수상 소감을 말하고 있다.
이어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모든 중앙정부는 물론 전국 지자체에 전문성 있는 정보보호책임관 또는 CISO를 두도록 하자는 이슈와 관련해서는 "사이버 비서관 일을 한 지 1년 정도 됐다. 예산이나 조직을 이끌고 가는 정보보호 책임자를 고위급이 맡을 수 있게 하는 여러 법령을 정비하는 데 작년에 노력을 했다"면서. "그 결과, 올해부터는 고위 공무원들이 CISO 역할을 맡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박춘석 교수는 90년대 중반 국내정보사업을 회고하며 수상 축하 소감을 전했다. "97년도에 정보통신부에 정보보호과가 생겼다. 산업 규모가 얼마다 되나 봤더니, 방화벽과 패스워드 생성 정도였고, 전체 매출을 모아 보니 96년 기준 겨우 300억이었다"면서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등을 위해 처음 만든게 협의회였다"고 들려줬다. 이어 박 교수가 2015년 한국정보보호학회장을 할 당시 K 의원이 도와줘 정보보호산업 육성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면서 "정보보호 산업을 육성하지 않고는 우리나라 사이버 보안은 없다"고 강조했다.
박춘석 아주대 교수가 수상 소감을 말하고 있다.
또 산업이 잘 돼야 인재가 모이고 인재가 모여야 사이버 보안과 산업이 발전한다면서 "인재 없는 사이버 보안은 모래성"이라면서 "저는 아직 배고프고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지금 보안산업 규모가 2~3조인데 최소 10조 시장은 만들어야 한다. 물리 보안을 뺀 정보보호 산업 시장이 이정도는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기정통부 실장 출신인 홍 원장은 "사이버 주권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AI 창이 더 정교해지고 더 날카로워질 건데 그럴수록 AI 방패가 더 공고해져한다. IITP가 연구개발과 고급인재 양성을 통해 이를 지원하고 있는데, 더 과감한 투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홍진배 IITP 원장이 수상 소감을 말하고 있다.
조영철 KISIA회장은 인사말에서 지난 한 해 협회가 정보보호산업의 ‘빌드업 투게더(Build-up Together)’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산학연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고 짚었다. 대표적 사례로 정부의 ‘사이버 10만인재 양성방안’에 따른 다양한 교육사업과 이를 통한 화이트 해커 양성, 고도의 보안 제품을 만들 수 있는 ‘S-개발자’ 양성, 산업계 주도로 인력을 양성하는 ‘시큐리티아카데미’ 등을 들며 "연간 7천여명 이상을 양성하는 성과를 만들어 냈다. 또 세계 최고 R&D 허브 대한민국 조성을 위한 사이버보안 국제협력기반 기술 개발사업을 수행하했다"면서 "한국제로트러스트위원회(KOZETA)와 클라우드 보안 협의체 등을 운영하며 산업계 주요 의견도 개진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