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028년 완성형 자율주행차 출시"

카테크입력 :2025-07-09 17:52:23    수정: 2025-07-09 17:55:07

"현대자동차는 2025년 현재 소프트웨어중심차(SDV) 기반 페이스카를 2026년경 출시할 계획입니다. 자율주행 AI인 '아트리아 AI'가 탑재된 차량은 2027년에 탑승하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현대차의 모든 자율주행이 총집약된 완성품 출시는 2028년 정도로 예상합니다."

이경민 현대차 자율주행SW개발실장 상무는 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 '스마트 드라이빙의 미래를 선도하다' 컨퍼런스 발표에서 이 같은 현대차 기술 로드맵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구매 후 약 10년간 운용되며, 가치가 떨어질 때 교체하는 ‘재산’ 개념의 제품이다. 반대로 휴대폰은 약 3년마다 신형으로 교체하는 전자기기로 꾸준한 교체가 이뤄진다.

이경민 현대차 자율주행SW개발실장 상무

이경민 상무는 "스마트폰이 지금처럼 이렇게 많은 사용자가 있고 세계를 아우르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됐을까를 보면 AI 발전을 통한 소프트웨어 지능화와 클라우드 연결성 강화라는 두 가지 축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자동차는 한 번 구입하면 보통 10년간 사용한다. 매년 감가상각을 감수하며 수명이 다할 때까지 유지하는 제품인데, 자동차도 휴대폰처럼 제품 가치가 변해야 한다"며 "제품 가치가 10년이 지나면 제로가 되는 차는 더 이상 우리에게 필요하지 않으며, 계속 발전하는 차를 만드는 것이 근미래의 자동차 모습이 될 것"이라고 했다

현재 내연기관은 평균적으로 2만5천개에서 3만개의 부품이 들어간다. 전기차는 1만5천개로 조금 더 단순하지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수많은 부품을 통제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SDV는 이를 더욱 간소화하면서 소프트웨어를 중앙에서 통제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구조를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분된다. 하드웨어는 고성능 차량 컴퓨터(HPVC)를 중심으로 한 전기·전자(E&E) 아키텍처로 전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존 컨트롤러를 통해 통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묶는 것이 소프트웨어다.

현대자동차그룹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이경민 상무는 "우리가 생각하는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들이 HPVC에 탑재되고 이 고성능 컴퓨터를 중심으로 자동차의 영역별로 존 컨트롤러를 분산하는 방식"이라며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기존 수백개의 전자제어장치(ECU)에 들어갔던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심플해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되면 당연히 코스트(비용)가 다운된다"며 "여기 들어가는 배선부터 짧아지고 문제가 생겼을 때 복잡한 연결에서 벗어나 존 별로 배치된 영역의 컴포넌트만 수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훨씬 도움 되는 하드웨어 아키텍처가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리 개발 중심으로 플레오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플레오스는 현대차그룹이 개발하는 자동차 운영체제(OS)로 SDV의 핵심 OS가 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차량 인포테인먼트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글레오 AI'와 자율주행 시스템인 '아트리아 AI'를 개발 및 탑재할 계획이다.

이 상무는 "우리가 사용하는 휴대폰 기능과 클라우드와 연결된 기능을 자동차에서 목소리로 모든 것을 활용할 수 있다"며 "이는 안전뿐만 아니라 자동차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증대시킬 수 있는 좋은 기술의 방향이라고 생각하며 현대차는 플레오스 플랫폼의 한 파트로 '글레오 AI'를 개발하고 있다"고 했다.

김홍일 방통위원장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