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미국)=신영빈 기자] 스마트폰은 더 얇고, 더 빠르고, 더 크기만을 좇았다. 기술의 진보는 직선 위의 경쟁처럼 이어졌다. 미래는 납작한 디스플레이 안에 갇힌 듯했다. 그 고정된 틀에 가장 먼저 균열을 낸 것이 바로 '폴더블'이었다.
2019년 삼성은 "폰을 왜 접으려 하는가?"라는 세간의 의아함 속에서도 세상에 질문을 던졌다. "폰을 책 처럼 펼쳐보면 어떨까?" 이는 곧 '갤럭시Z폴드'라는 해답이 되어 현실로 접혀 나왔다. 마치 책장을 넘기듯 반으로 접히는 스마트폰은 단지 형태의 변화가 아니었다. 기술에 대한 상상력, 경계 너머로 가려는 의지의 선언이었다.
그로부터 6년이 지났다. Z폴드는 매년 진화를 거듭하며 단순한 기기 폼팩터의 혁신을 넘어 시대와 사용자, 기술이 함께 써내려간 연대기가 됐다. '접히는 것'이 새로움이던 시절을 지나 이제는 '펼치는 것'이 일상이 된 오늘. 지디넷코리아가 갤럭시Z폴드가 걸어온 변화의 여정을 다시 되짚어봤다.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장에 전시된 1세대 갤럭시 폴드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접히는 것'이 새로움이던 시절...이제 '펼치는 것'이 일상이 된 오늘
2019년 2월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의 형식을 완전히 새롭게 정의한 제품을 세상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갤럭시Z폴드1은 7.3인치 대화면이 안으로 접히는 폼팩터로, 휴대성과 태블릿 경험을 동시에 추구했다. 다만 초기 힌지 설계와 디스플레이 내구성 문제로 우려의 시선을 받기도 했다. 한 외신 기자는 "차라리 핫도그를 접어라"며 비아냥 대기도 했다. 그럼에도 '폴더블폰'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연 첫 제품으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다.
Z폴드2는 전작의 단점을 빠르게 개선하며 시장의 반응에 응답했다. 외부 디스플레이가 4.6인치에서 6.2인치로 대폭 확대돼 실사용성이 향상됐고, 내부 120Hz 주사율 디스플레이로 멀티미디어 경험도 강화됐다. 힌지도 새로운 구조로 설계돼 내구성 역시 개선됐다. Z폴드2는 '실용적인 폴더블'로 진화하기 시작한 첫 사례였다.
세 번째 폴드는 S펜을 지원하며 사실상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계승자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동시에 IPX8 방수 지원과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DC) 탑재는 기술적 도전의 상징이었다. 삼성은 이 제품을 통해 '폴더블은 실험적 제품이 아니라 주력 라인업'이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2022년 신제품은 눈에 띄는 외관 변화보다도 사용자 경험(UI·UX)과 카메라 품질 향상에 주력했다. 50MP 메인 카메라로 업그레이드된 트리플 시스템, 멀티태스킹을 고려한 새 UI, 경량화된 바디는 일상 속에서 폴더블폰의 쓰임새를 명확히 보여줬다. 생산성 중심 사용자를 겨냥한 정교한 진화였다.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 행사장에 갤럭시Z폴드 시리즈 변화 과정이 전시됐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Z폴드5가 이전 모델들과 가장 큰 차이는 새로운 '플렉스 힌지'의 도입이다. 이는 완전히 평평하게 접히는 구조를 가능케 하며 접힘 자국을 최소화했다. 두께와 무게도 줄어들어 '부담 없는 폴더블'이라는 지향점에 가까워졌다. 기술적 안정성과 사용성 모두에서 "폴더블이 주류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Z폴드6은 외형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사용자 경험에 대한 미세 조정이 이뤄졌다. 커버 디스플레이가 6.3인치로 살짝 넓어졌고, 무게와 두께 측면에서 또 한 번 다이어트에 성공했다. 메인 카메라는 여전히 50MP를 유지하며 완성형 폴더블이라는 정체성을 다졌다.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현지에서 공개된 Z폴드7은 폴더블 기술 혁신의 정점을 상징한다. 8인치 메인 디스플레이와 6.5인치 커버 스크린은 더 넓어지고 밝아졌으며, 힌지 구조는 더욱 얇아져 접었을 때 8.9mm 두께, 215g의 경량화를 이뤘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200MP 카메라, 그리고 원 UI 8 기반의 AI 기능 강화다. 실시간 통역, 자동 문서 요약, 이미지 보정 등 스마트한 기능이 대거 탑재됐다. 'AI 폴더블'이라는 새 장르의 문을 연 셈이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