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과 로봇 함께 일하는 '스마트 일터' 만든다

디지털경제입력 :2025-07-23 20:46:25    수정:

장애인과 로봇이 함께 일하는 '스마트 일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기술을 통해 장애인 일자리를 확대하고 제조업계 인력난에도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다는 목표다.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은 장애인과 로봇이 함께 협업할 수 있는 포용적 생산환경 조성을 위한 첨단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23일 밝혔다.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을 받아 로봇자동화 전문기업 뉴로메카가 주관하며 로봇융합연구원과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공동 참여한다. 오는 2026년 12월까지 국비 39억원이 투입된다.

연구 담당자가 정보피드백 시스템 개발을 위해 '사용자 손 추정 위치를 활용한 프로젝션 UI 조작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한국로봇융합연구원)

연구원은 장애인과 로봇이 자연스럽게 협업할 수 있는 스마트 작업 환경을 구축한다. 산업계 인력난 해소와 함께 장애인을 포함한 취약계층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한다는 취지다.

먼저 자동화가 어려운 작업 공정에서 로봇과 장애인이 효율적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작업 공간 '협동로봇 워크셀'을 만든다. 로봇 상태와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전달하는 피드백 시스템인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기술'도 연구한다.

또 사용자 행동과 의도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이에 따라 로봇 움직임을 조정하는 공유제어 알고리즘인 '의도 인식 및 공유제어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연구 담당자가 핸드 트래킹 센서를 설치한 워크셀 환경에서 부품작업을 테스트해보고 있다. (사진=한국로봇융합연구원)

이 밖에도 구미에 위치한 국내 최대 로봇 전문 교육 인프라인 로봇직업혁신센터(RoTIC)를 통해 개발 기술 현장 검증과 직무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김홍일 방통위원장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