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시대에 한국 사무 근로자가 자료 검색과 보고서 작성 등 비핵심 업무에 여전히 시간을 허비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드롭박스가 유고브와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근로자가 AI를 업무에 도입하려는 의지는 높지만 이를 실질적으로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을 비롯한 7개국 근로자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다.
보고서는 국내 전일제·시간제 사무 근로자들이 매년 약 251억 시간을 행정 처리와 자료 검색, 보고서 작성 등 비핵심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시간은 전체 근로 시간의 44%를 차지했다. 이로 인해 고부가가치 업무 수행이 제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시대에 한국 사무 근로자가 자료 검색과 보고서 작성 등 비핵심 업무에 여전히 시간을 허비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구글제미나이)
한국 응답자 2명 중 1명은 전략 회의와 의사결정 등 핵심 업무에 주당 5시간 이상을 쓰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창의적 사고나 문제 해결에 할애하는 시간도 전체 업무 중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한국은 조사 대상국 중 AI 도입에 가장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국 응답자 55%는 매주 4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면 AI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평균 39%보다 크게 앞섰다. AI를 절대 사용하지 않겠다는 한국 응답자 비율은 9%로 글로벌 평균인 28%보다 낮았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