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저장대학 연구진들이 전기장을 이용해 먼지와 기타 입자를 제거하는 새로운 유형의 자가 세척 유리를 개발했다고 과학전문매체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유리에는 전기장으로 구동되는 전극이 내장돼 몇 초 만에 자체 세척이 가능하며, 물이나 세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최대 98%의 먼지 입자를 자체적으로 제거해준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실렸다.
중국 연구진이 자가세척이 가능한 유리를 개발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표면의 입자 오염은 주택 창문부터 고층 빌딩의 외벽, 사막의 태양광 패널까지 많은 것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청소하려면 많은 시간이나 노력, 비용이 필요하다.
연구진은 대전된 입자가 전기장에 노출되자 방향을 바꾸거나 심지어 표면에서 튀어 오르는 등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행동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활용해 중국 연구진은 입자 크기와 전기장 강도가 입자 운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고 전기장으로 표면에 있는 입자를 이동시키는 두께 0.62mm의 얇고 투명한 자가세척 유리를 개발했다.
이 유리는 수동적인 노력 없이도 유기 입자와 무기 입자를 모두 스스로 세척할 수 있다. 또, 자가세척 유리는 기존에 쌓였던 먼지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먼지가 쌓이는 것도 방지한다. 연구진은 전기장이 켜지면 공기 중 대전된 입자가 튕겨져 나가면서 표면을 더 오랫동안 깨끗하게 유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