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거가 국회와 국민 간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기 위한 인공지능(AI) 활용·고도화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핑거는 국회도서관이 추진하는 'AI 시사 분석 아르고스 고도화 사업'을 수주했다고 4일 밝혔다.
아르고스는 국회도서관이 제공하는 AI 기반 이슈 분석 플랫폼이다. 뉴스와 SNS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회적 이슈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입법·정책 활동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 AI 서비스다.
아르고스 메인 페이지 (사진=핑거)
이 서비스는 텍스트 마이닝·감성 분석·키워드 클러스터링 등 다양한 기술을 바탕으로 국회도서관 소장 자료와 연계해 정무적 판단과 법률 제정의 객관성을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다.
이번 고도화 사업의 핵심은 분석 범위의 지역 단위 확대와 대화형 인터페이스 적용이다. 핑거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구 단위의 이슈 발굴 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 언론과 커뮤니티 데이터를 연동해 정책 수요를 보다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여론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분석, 지역 간 이슈 비교, 정책 우선순위 파악 등의 기능이 강화된다.
또 AI 기반 에이전트를 도입해 대화형 질의응답 형태의 분석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사용자가 질문을 자연어로 입력하면 AI가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 핵심 내용을 요약·시각화해 제공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공공 분야의 복잡한 데이터 분석을 실시간 이슈 대응과 입법 지원에 연결하는 고도화된 플랫폼 구축이라는 점에서 높은 기술력과 풍부한 공공사업 수행 경험을 요구한다.
핑거는 금융과 공공 분야에서 다수의 AI·빅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자연어 처리(NLP)·텍스트 마이닝·감성 분석 등 특화 기술을 접목한 맞춤형 분석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
이번 아르고스 고도화 사업 역시 공공 분야 경험과 기술 이해를 겸비한 핑거의 데이터·AI 전문 인력들이 투입하고 국회도서관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핑거는 단순 기술 공급을 넘어 공공 정책 수요에 부합하는 실효성 있는 분석 체계 설계와 이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구현까지 함께 수행함으로써 아르고스 플랫폼의 활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아르고스 고도화 사업은 단기적 분석 기능 강화에 그치지 않고 국회도서관의 중장기 AI 전략과도 밀접하게 연계돼 있다. 향후 국회도서관은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민주당, 김홍일 방통위원장 탄핵 추진..."6월내 통과 목표"2024.06.27
- 김홍일 위원장 "2인 체제 방통위, 바람직하지 않지만 위법 아니다”2024.06.21
- LG 구광모 6년...AI·바이오·클린테크 키운다2024.06.28
- 화재 막는 배터리 진단기술 뜬다...민테크, 상장 후 존재감 '쑥쑥'2024.06.28